한국은행은 선을 긋고 있지만, 소비자 물가가 관련 통계 작성 이후 50여 년 만에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자연스럽게 디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 뉴스 TMI에선 좀 어려운 경제 용어죠? 디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박석원 앵커, 기본적으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는데, 시장엔 어떤 파장이 있는 거죠? <br /> <br />네, 먼저 경제학적으로 디플레이션은 가격이 치솟는 인플레이션과 구분되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말씀하신 것처럼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인데, 경제의 어느 한 부분만 하락하는 게 아니라 (B) 경제가 전반적으로 축 가라앉는 무기력한 증세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꾸준히 하향 국면에 있을 때, 디플레이션이라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디플레이션의 원인으로 다양한 의견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일단 디플레이션의 어원, '공기를 뽑는다'는 의미의 Deflate처럼 팽창된 경제 거품의 붕괴를 원인으로 꼽는 경우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정부가 세금을 너무 많이 받아들이거나 재정 지출이 적을 때 일어나기도 하고, 그 밖에 금융 활동의 침체, 국제적인 파급 등으로 디플레이션이 일어난다는 분석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수의 경제학자들은 인플레이션보다 디플레이션 지속이 오히려 더 위험한 경제 현상이라고 말합니다. 이유가 뭘까요? 쉽게 이야기하면 시장에 돈이 돌지 않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예를 들어 집값이나 자동차 등 고가품의 경우, 가격이 떨어지는 상황이 지속되면 소비자들은 더 떨어질 때까지 기다립니다. 가장 저렴할 때 사고 싶은 게 소비자 심리겠죠. <br /> <br />기업들도 마찬가지입니다. 공장을 짓거나 기계를 구입하는 등 설비 투자를 계획할 때, 가격 하락이 멈출 때까지 투자를 유보하겠죠. <br /> <br /> <br />결국 소비와 투자의 감소는 전반적인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고, 그 여파로 생산 위축, 고용 감소, 임금 하락 등을 초래하면서 추가적인 가격 하락이 뒤따릅니다. '디플레이션 소용돌이' 즉 악순환을 만드는 것이죠. <br /> <br />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%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통계청은 최근 국제 유가가 하락하고 국내 교육복지 정책이 효과를 본 데다 지난해 큰 폭으로 올랐던 농산물 가격이 다시 떨어지면서 전체적인 물가를 끌어내린 것일 뿐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090316180659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